2019년 10월 14일 월요일

3D 프린터 단층 현상 개선하기 - 2차 개선

1. 1차 개선후

 Spool holder를 만들어서 개선은 하였다. ([ 1차 개선 내용 ]) 한동안 호전되어 보이더니, 또다시 단층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.

2. 원인 분석

 일단 Spool holder를 개선하였으므로 다른 부분을 찾아보기 시작했다. 처음은 노즐 막힘을 의심해서 Heating block을 다 분해하여 청소하고, 노즐까지 교환했으나 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다.  결국 Extruder(압출기)가 문제 였다.

[ 압출기 분리후.. 멀쩡해 보이긴 하지만... ]
 압출기를 분했을때는 바로 문제점을 알 수가 없었지만, 다시 살펴보니 한 부분이 파손되어 있었다.


[ 멀쩡해 보이긴 하지만 ]


[ 이렇게 깨져 있었다 ]
압출기가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서 저런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고 인터넷에서 찾았다. 제조사에서 2$ 정도 더 추가하여 저부분을 알루미늄합금으로 만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.  문제 해결을 위하여 알리에서 공수하였다. 
[ mk8 압출기 ]


3. 장착 완료

 뭐 조립은 분해의 역순이니 어려울 것 없다. (!!)   새로운 부품으로 헐레벌떡 교체후에 프린팅 해보니 결과는 아주 좋았다.

[ 정렬의 빨간색으로 교체 완료 ].

한동안 문제가 없었으면 좋겠다~~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

ESP8266 Digital Input Pin의 불편한 진실

1. 믿었던 놈인데... ESP8266은 2017년도 부터 사용했기 때문에, 7년 정도 사용해 왔었다. 그동안 여러 종류의 내 프로젝트에 사용한 MCU이고, 이에 따라서 신뢰도가 상당히 높았다. 물론 순수한 ESP8266으로 사용하지는 않고 Wemos...